마취이야기(14)
-
점탄성 응고검사(Viscoelastic test) : ROTEM / TEG 에 대해 알아보자
Viscoelastic Test기존의 응고 검사ex) Bleeding time, PT, aPTT, TT, Fibrinogen- 출혈이나 수혈 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려워 응고장애 감별 검사로 부족- 빠른 판단이나 처치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시간이 지체점탄성 응고검사 (Viscoelastic test)ex) ROTEM, TEG- 혈액 응고가 진행되는 동안 혈전 탄성 묘사도를 얻는 법- 실시간으로 응고 상태 판단- 응고 시작부터 용해, 혈전의 강도 및 유지 능력을 볼 수 있음 ROTEM혈액이 담긴 컵은 가만히 있고, 핀(pin)이 좌우로 살짝 회전.혈액이 굳으면서 핀의 움직임에 ‘저항’이 생김 → 즉, 회전이 덜 됨.핀이 얼마나 회전을 방해받는지를 측정→ 회전 저항이 클수록 혈전이 단단하다는 뜻→..
2025.05.30 -
뇌동맥류 수술 중 동맥류 파열의 detection 및 대처
요즘 coil embolization 마취를 꽤 들어가는데나는 한 번도 겪어본 적 없지만만약 수술 중에 aneurysm이 rupture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하지?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음진짜 생각도 하기 싫은 일이지만모든 상황에 대해 대처할 줄 알아야 하니까 공부를 해본다 Intraoperative Rupture(IOR) of Aneurysm - Open surgery 중 발생률 7~40%, Endovascular procedure 중 발생률 2~4.5% Detection * 수술 중 설명되지 않는 갑작스러운 고혈압과 서맥 (뇌압 증가에 의함) * 갑작스러운 뇌압 상승이나 herniation이 blown pupil, arrhythmia, neuromonitoring에서의 ischemia 발생 가능 ..
2025.05.23 -
트라넥삼산 (Tranexamic acid) -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있으면 금기일까?
Tranexamic acid - Synthetic antifbrinolytic agent - Plasminogen → plasmin 전환 과정을 막아 Fibrin clot breakdown을 저해한다. - ε-aminocaproic acid보다 8~10배 potent - 원래 유전성 출혈경향을 가진 환자의 월경 과다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외상, 수술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수혈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. *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는 Coagulation cascade 및 Fibrinolysis System - 혈관 endothelial wall이 손상되면 먼저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혈관 수축, 혈소판 응집이 일어남 - Platelet plug가 형성되며, Coagulation c..
2025.05.22 -
정맥마취제 Byfavo(Remimazolam)에 대한 감상
Byfavo (Remimazolam) 레미마졸람이라는 약을 대학에서는 써본 적이 없고발표 준비한다고 공부만 해봤는데요즘 자주 쓸 일이 생겨서 개인적인 사용 후기를 남겨보려 함 레미마졸람은 20mg, 50mg 짜리 두 가지로 나오는데0.9% Normal saline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Infusion 용법은 다음과 같다1) 성인에서 6mg/kg/hr 또는 12mg/kg/hr 속도로 시작2) 의식 소실 이후 1mg/kg/hr, 최대 2mg/kg/hr로 유지 ex) 50mg 짜리를 50cc saline에 희석해서 만들었다고 치면 1mg/cc가 되니까60kg 환자를 인덕션하려면 360cc/hr로 틀어주고 => 60cc/hr로 유지 근데 이렇게는 안 써봤고(용량 보니까 저거 저렇게 쓰려면 약 엄청 많이 필요할거..
2025.05.19 -
항응고제, 항혈소판제 복용 시 전신마취와 부위마취 - 출혈과 혈전 사이에서 고뇌하는 마치까
항혈소판제,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수술 전중후 출혈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.따라서 수술 전 약제 중단이 필요한데, 중단만 했다고 안심할 수 있을까?애초에 이런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혈전, 색전을 예방하려고 먹는 것이라약제를 중단하는 순간 마취의는 혈전/색전 발생 위험과 싸워야 한다 따라서 이런 환자를 마주쳤을 때 우리는 항응고제 언제 끊지? 굳이 끊어야 되나?끊었으면 어떻게 메꾸지? (헤파린 가교요법-Bridging) 근데 굳이 또 메꿔야 되나? 맘 속으로 이런 고민을 계속 하게 된다 각 약제마다 며칠 중단할지 매번 찾아보게 되는데, 앞으로도 신약이 많이 나올 거기 때문에싹다 외우기는 힘들 것 같고 러프하게 대충 며칠 정도라고 알아두면 좋을 것 같고어떤 경우에 헤파린 브릿징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두면..
2025.05.15 -
당뇨 환자의 전신 마취
Preoperative Evaluation Type 1 vs. Type 2 Current blood glucose level & HbA1c : 현재 혈당 수치 뿐 아니라 얼마나 잘 조절되고 있었는지 체크다양한 기관에서 HbA1c level 에 따라 수술 연기를 고려하는데, 8~9% 정도가 cut-off임.하지만 수술 이후 outcome을 개선하는 정확한 A1c level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대부분 현재 ketoacidosis나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수술을 진행한다Recent hypoglycemic event : 금식 중 인슐린 용량 조절을 고려금식 중 혈당 > 200mg/dL 이거나 HbA1c > 9 이면 내분비내과 consult를 고려한다GLP..
2025.05.13